에듀윌 공무원 1위 에듀윌 :: 7급공무원
제목 2014년 “국가직 시험이 달라졌어요”
번호 15673 등록일 2014-01-16 오후 12:45:52
내용
국가직 시험, 수험생과 보폭 맞추기

“강한 힘이나 탁월한 지성을 지닌 종이 아니라, 변화에 가장 잘 적응하는 종이 살아남는다” - 찰스 다윈 <종의 기원> 中

비단 과학의 영역 뿐 아니라, 시시각각 들려오는 채용 소식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공무원 수험가에도 다윈의 얘기는 유효하다. 자신이 치르는 시험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야 합격에 도달키 위한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해 다른 응시자들과 경쟁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격적인 수험 준비와 함께 매년 달라지는 체용 제도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도 수험생들이 눈여겨봐야 하는 이유다.

지난해 국가직 시험이 고교출신 인재 확대를 위한 선택과목 도입 등 주로 ‘합격자’에 초점을 맞춘 변화를 시도했다면, 올해 국가직 시험은 ‘응시생’에 초점을 뒀다. 응시생 사이에서 많은 논란이 됐던 채용 과정이 상당 부분 보완됐기 때문이다.

가장 큰 변화로는 추가합격자 선발 근거가 마련됐다는 점이다.

그간 국가직 시험은 임용포기자로 인한 결원이 발생해도 추가 합격자가 선발되지 않았지만, 올해부터는 면접 시험을 ‘우수’, ‘보통’, ‘미흡’ 등급으로 구분해 불합격 대상에 해당하지 않은 사람 중에 추가로 합격자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면접시험 결과로 당락을 결정했던 예년과 달리, 면접시험 결과에 따라 구분한 등급 중 ‘보통’ 등급은 선발예정인원에 달할 때까지 필기시험 성적순으로 최종합격자를 선발하게 된다.

가채점 결과와 실제 필기시험 성적이 일치하지 않아 답답함을 호소해왔던 수험생들의 고충도 해결될 전망이다.

올해부터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 전 응시자의 전산 채점 결과가 사이버국가고시센터에 공개되며, 본인의 가채점 성적과 상이할 경우 이의신청도 가능하다. 이는 9급 공채시험에 시범적으로 적용된 후 점차 확대될 예정이다.

그 외에 교정직, 철도경찰직 등 일부 모집단위에서 시행하는 체력검사에서 약물 복용 등의 부정행위가 발각될 경우 불합격 처리될 뿐만 아니라 5년간 공무원 채용시험 응시자격이 제한되며, 가산점 등록방법은 필기시험일을 포함해 5일 이내에 사이버국가고시센터에 등록하는 방법으로 달라진다.

[출처] 공무원 저널



    클릭하시고 인쇄하실 프린터를 선택해 주세요.
번호 제 목 등록일
15674 고졸자 채용 “속 빈 강정” 2014-01-16
15673 2014년 “국가직 시험이 달라졌어요” 2014-01-16
15672 주요 공채 “시험장 찾지 않은 비율은?” 2014-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