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
政權 따라 바뀐 정부조직 변천사! |
|
번호 |
 |
14237 |
 |
등록일 |
 |
2013-01-24 오전 8:51:22 |
|
내용 |
 |
정부수립당시 11부 4처에서 시작
지난 15일, 18대 대통령 인수위원회는 새 정부의 조직개편안을 발표했다.
개편안의 내용에 따르면 미래창조과학부가 신설되고 경제부총리제와 해양수산부가 부활하는 등 현행 15부2처18청의 정부조직이 17부3처17청으로 확대 개편된다.
또한 행정안전부는 안전행정부로 명칭이 바뀌고 국민의 안전관리를 총괄한다.
그럼 우리나라의 정부조직의 변천과정은 어떻게 진행되었을까? 그간 새 정부가 출범 할 때 마다 많은 부처들이 통·폐합, 신설됐다.
1948년 정부수립당시 국가유지를 위한 기본적 필수기능을 위한 11부 4처(내무부, 외무부, 재무부, 국방부, 법무부, 문교부, 농림부, 상공부, 사회부, 교통부, 체신부, 보건부, 총무처, 공보처, 법제처, 기획처)였다.
이후 60년대 경제부흥기를 맞아 경제기획원과 건설부가 70년대 동력자원부와 환경청이 신설됐으며 80년대 노동청이 노동부로 승격됐으며 체육부가 신설됐다.
90년대 김영삼 정부는 '작고 효율적인 정부'를 추구하며 16부였던 정부조직을 14부로 줄였다. 이후 김대중 정부 말기 정부조직은 18부 4처 16청였다.
노무현 정부는 기능조정에 초점을 맞춰 여성부를 여성가족부로 개편하고 소방방재청·방위사업청을 신설해 18부 4처 18청 체제가 됐다.
이후 이명박 정부는 ‘작고 유능한 실용정부’ 기조에 따라 정보통신부와 해양수산부 등을 폐지하는 등 노무현 정부 때보다 축소된 15부 2처 18청 체제가 되었다. 반면 지식경제부와 특임장관을 신설하고 교육과학기술부를 개편했다.
[출처] 공무원 저널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