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
검찰사무직 “원서접수 오류 논란” |
|
번호 |
 |
10706 |
 |
등록일 |
 |
2011-04-07 오전 10:36:27 |
|
내용 |
 |
일반에 응시했지만 저소득으로 접수된 수험생 많아
국가직 9급 검찰사무직을 준비하는 수험생 A씨는 원서접수가 시작된 첫 날, 사이버국가고시센터에 접속해 응시원서를 접수했다. 하지만 얼마 전 응시표를 출력하고 시험 직렬이 ‘저소득’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고 당황스러운 마음을 금치 못했다. 자신은 분명히 검찰사무 ‘일반’으로 접수를 마쳤는데 ‘저소득’으로 표시된 것.
이 같은 사례는 한두 건이 아니다. 수험생 B씨는 “평소에 꼼꼼한 성격이라 원서접수 첫날 세 번이나 확인하고 원서접수를 마쳤다. 그런데 원서접수 출력 첫 날에 저소득층으로 표기된 것을 보고 국가고시센터 담당자와 통화를 했지만 수정기간이 지나 더 이상 직렬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듣고 시험을 포기했다.”라며 억울함을 토로했다.
접수 과정에서 수험생들의 혼동을 야기했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수험생 C씨는 “원서접수 당시 저소득층 직렬이 파란색으로 표기가 되어있었고, 처음 응시하는 응시생들은 파란색을 일반적으로 인식하기에 활성화되어 있는 것처럼 오해할 수 있는 여지가 있었다.”라며 “저소득층만 파란색의 굵은 글씨체로 나타내고 일반은 회색에 보통 글씨체인 것이 오히려 해가 됐다.”고 접수 시스템의 문제를 지적했다.
검찰사무 저소득직렬의 최근 2년간 출원현황을 보더라도 사태의 심각성을 알 수 있다. 2009년 37명, 2010년 48명이었던 검찰사무 저소득의 출원자는 올해 506명으로 예년의 10배 이상 증가했다.
웅진패스원 법원검찰팀의 진용은 교수는 “이 같은 결과는 수험생의 잘못이 아닌 다른 원인이 있을 개연성이 대단히 높다.”라며 “현재까지 원서접수 오류로 응시할 수 없게 된 학생의 숫자만 100여명 가까이 확인됐다. 피해를 입은 학생들이 함께 모여서 한 목소리로 행안부에 정정을 요구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이처럼 적지 않은 수의 검찰사무직 수험생이 원서접수 오류에 따른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지만, 행안부에서는 잘못 접수한 수험생에 책임이 있다하여 이 같은 문제를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가직 9급 필기시험이 앞으로 나흘 밖에 남지 않았지만, 원서접수로 인한 피해 학생들의 숫자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어 행정안전부에 긴급한 대책이 요구된다.
[출처]공무원 저널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