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
수험가는 ‘면접태세’
면접공략 체크포인트
시사상식 및 사회현안
G20에서 G는 무엇의 약자인가, 스마트폰의 장단점, 트위터의 의미와 문제점, 청년실업문제 해결방안.......
나열한 질문들은 모두 5.22지방직 시험의 면접에서 출제됐던 문제들이다. 공무원 면접에서 최신 시사상식이나 사회현안에 대한 질문은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골손님으로 면접관들은 이것을 바탕으로 면접자의 시사관심 정도와 의사발표의 정확성 및 논리성 등을 평가한다.
오늘은 면접 준비의 두 번째 순서로 최근 시사상식과 사회현안에 대한 질문유형을 정리하는 자리를 마련해보았다.
최근 국가직 9급과 서울지방직 면접시험에서 가장 빈도 높게 출제된 사회현안으로는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해결방안과 청년실업 해소방안을 꼽을 수 있다. 이는 수년간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으로 앞으로 치러질 면접시험에서도 이와 관련한 질문은 빠지지 않고 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관련 사안에 대한 원인과 현황, 현실성 있는 대책 등을 조사하여 정리하되, 자신의 주관과 창의성이 돋보일 수 있도록 준비해야겠다.
그 밖에 최근 언론보도를 통해 알려진 극악범죄와 관련한 사회현안 등도 출제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일명 ‘나영이 사건’으로 관심을 모았던 아동성범죄에 대한 대책이나 천안함 사태에 따른 대북조치 문제, 4대강 정책 등 관심이 집중됐던 사회 이슈들을 자신만의 생각으로 정리해보자.
주요 공무원시험에서 출제됐었던 시사상식으로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모라토리움(Mora-torium), 노비즘(nobyism),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엠바고(embargo), 깨진유리창이론, 서브프라임모기지론(subprime mortgage loan) 등이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점을 반영해 스마트폰과 관련한 질문들도 다수 출제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공무원들이 시간과 장소에 제약 없이 원격근무를 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추진하는 스마크워크(Smart Work) 등도 출제될 수 있으니 개념, 시행과정 등을 정리해두는 것이 좋겠다. [출처] 공무원저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