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
숨어있는 직렬찾기 - 군무원 |
|
번호 |
 |
3069 |
 |
등록일 |
 |
2006-03-15 오전 10:22:57 |
|
내용 |
 |
☞ 클릭!! 06년도 공무원 채용 예정 공고 보러가기
공무원 시험은 그 준비에 앞서 적성, 특성 및 전공을 고려한 본인만의 직렬을 찾아내는 과정이 반드시 이루어져야한다.
하지만 직렬이 다양한 만큼, 자신에 맞는 정보를 가려내는 것도 한계가 있다. 이에 수험생들을 대신해 ‘숨어있는 직렬 찾기’에 나섰다.
많은 수험생들이 일반직과 함께 병행해서 공부하고 있는 ‘군무원’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군무원 “군에서 전문직으로 활동해요”
Q 군무원은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인가?
A 군무원이란 민간인 신분으로 각 군에 소속되어, 군과 관련된 각 분야에서 전문직으로 활동한다. 국방부 및 각 군의 행정기관에서 군의 관리사무나 후방지원의 업무를 담당하게 되는데, 이는 기술·연구 또는 행정일반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는 일반군무원 (14직군과 61직렬, 1급∼9급의 계급으로 구분)과 기능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기능군무원(6등급∼10등급)으로 분류된다. 군무원은 군에 소속되어 있는 국가 공무원으로 각종 복리혜택과 수당을 제공받으며, 급여나 신분 보장은 국가 공무원과 동일한 대우를 받는다.
Q 군무원이 되기 위해 알아두어야 할 사항은?
A 군무원은 행정직과 기술직으로 나뉘는데, 행정직은 제한이 없으며 기술직은 해당직렬 자격증을 가지고 있어야 응시가능하다. 또한 군무원은 국가직이기에 특별히 공고되지 않으면 거주지제한이 없어, 서울에 거주하고 있어도 다른 지역에 응시할 수 있다.
군무원을 모집할 때에는 1군, 2군, 3군별로 모집하기도 하고 군수사령부나 교육사령부 등 그 밖의 단위부대별로도 모집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렇게 모집하는 경우는 특수직이나 기술직 등에 많은 편이며, 대부분은 국방부와 육ㆍ해ㆍ공군을 정기적으로 공고하고 같은 날 동시에 시험을 치르게 된다.
Q 군무원의 응시연령과 과목은?
A 응시연령은 만 19세 이상~만 35세 이하로, 단 기능 군무원은 40세 이하이다. 학력과 경력을 비롯해 남,여의 제한이 없으며, 병역의무를 필한 자나 또는 면제된 자이어야 한다. 군무원 시험은 직군과 직렬별에 따라 시험과목이 달라진다. 참고로 9급 행정직의 경우 국어ㆍ국사ㆍ영어ㆍ행정법ㆍ행정학이 필수과목이며, 선택과목은 정책학ㆍ경제학 중 1과목을 택하면 된다.
Q 군무원의 시험일정 및 향후 전망은 어떠한가?
A 군무원 공개채용시험은 각 군(국방부, 육·해·공군본부 및 각 예하부대) 별로 1년에 1회 정도 시행한다. 그 외에도 각 부대별 채용시험이 수시로 있다. 국방부 및 육군, 해군, 공군 및 각 부대별로 시행하므로 시험 응시 기회는 많은 편이다.
정부는 군무원의 전문성을 높이려는 취지에서 장기 활용이 가능한 직위에 현역대비 군무원의 비율을 늘리기로 했다. 이에 현재 현역 68만명에 비해 2만3천명(3.6%)에 불과한 군무원은 2020년이면 3만명(6%)으로 늘어날 예정이기에 전망이 매우 밝다고 볼 수 있다. [공무원 저널]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