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은행 구축, 시험문제 선정 등의 과정 거쳐
우정사업본부 관계자 “올해 시험, 신 유형의 문제 많아”
일반적으로 정규분포에서 종 모양을 그리는 시험을 변별력이 높은 시험이라고 평가한다. 따라서 시험은 난이도 중의 문제를 절반 이상, 나머지 부분에 상과 하를 적절히 배치해 적당히 어렵거나 적당히 쉽게 출제해야 한다. 무조건 어렵게 출제해야 변별력을 갖췄다고 생각하는 건 잘못됐다. 누구나 정답을 맞히는 문제처럼 모두가 틀리는 문제 역시 평가의 가치가 없으며 그런 문제의 비중이 높을수록 변별력은 낮아지기 때문이다.
공무원시험은 수능과 비교해 절대적으로 적은 문제로 합격자를 가린다. 표본이 적기에 각 문제가 변별력에 미치는 영향은 클 수밖에 없기에 신중히 출제해야 한다. 인사혁신처가 출제 절차를 세분화하고 매년 보완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기사 원문을 참고하세요.
기사 원문 보러 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