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자격증/고시 No.1 - 에듀윌
제목 중앙위 '앞으로 중증장애인 합격비율 높일 것'
번호 2630 등록일 2005-11-29 오후 2:29:40
내용
중앙인사위원회가 지난해 7.9급 공채와 올해9급 공채시험을
분석한 결과, 국가직 시험에서 합격한 장애인의 77.5%가 장애정도가
낮은 경증장애인이었으며, 절반이상이 지체장애인이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중앙인사위원회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7.9급 공채와
올해9급 공채에서 장애인 구분모집에 합격한 장애인은 04년 7급 28명,
04년 9급 67명, 05년 9급 74명 등 총 169명이다. 이 중 77.5%인 131명이
경증장애인이었다. 반면 중증장애인은 38명(22.5%)에 그쳤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 전체장애인 170여만명 중 44%(약 74만명)가
중증장애인인 것에 비해 다소 낮은 수치이다.

장애인 합격자의 유형을 살펴보면 지체장애인이 51.5%로
절반이상을 차지한 가운데, 국가유공자 장애 20.7%,
시각장애 17.2% 등이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는 18~28세 71.6%, 29~35세 26%, 36세 이상 2.4%,
직렬별로는 9급 세무 25.4%, 9급 행정 24.9%, 9급 정보통신 24.3%,
7급 행정 11.2%의 분포를 보였다.

아울러 전체 장애인 합격자중 74%(통신정보처리 50.3%, 사무관리 23.7%)가
분야자격증 소지자로 나타나, 장애인구분모집에서도 자격증 가산점이
당락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중앙인사위원회는 이번 분석결과를 토대로 장애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중증장애인들의 공직진출 기회를 확대하기로 하고, 장애인 단체 및
학계 등의 의견수렴을 거쳐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중앙인사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장애인지원자가 01년도 1,791명에서
올해 32,855명으로 18배 증가할 정도로,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장애인들이 늘었다.”라며 “앞으로 장애인구분모집시험 중 중증장애인들의
합격이 많아질 수 있도록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관계자는 “내년부터는 장애인 의무고용적용직종이 공안직군,
검사, 경찰, 소방, 경호 및 군인을 제외한 전 직종으로 확대되고,
장애인의 응시상한연령을 최대 3세 범위 내에서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개정안이 국회에 계류 중에 있다.”라며 “앞으로 공직분야는 장애인에게
가장 문호가 넓은 직종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라고 전했다.

[공무원 저널 11월 29일]
    클릭하시고 인쇄하실 프린터를 선택해 주세요.
번호 제 목 등록일
2631 12월 '한해를 마무리 한다' 2005-11-29
2630 중앙위 '앞으로 중증장애인 합격비율 높일 것' 2005-11-29
2629 장애인 수험생들 '편하게 시험볼 수 있었다' 2005-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