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
공무원시험 면접 완벽대비!
최근에 면접시험의 비중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바늘구멍 같은 필기시험의 관문을 뚫고 맞이한 최종합격의 마지막 관문인 면접시험을 후회없이 치르기 위해서는 철저한 자료준비를 통한 반복적인 연습이 필요하다.
필기합격자들은 면접시험의 대비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면접시험에서는 공직자로서의 면접평정표에 따른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평정요소는 다섯 가지로 한다. 첫째 공무원으로서의 정신자세, 둘째 전문지식과 그 응용능력, 셋째 의사발표의 정확성과 논리성, 넷째 예의·품행 및 성실성, 다섯째 창의력·의지력 및 발전가능성을 점수로 평가한다. 5가지 평정요소 중에서 2개 항목 이상을 낮은 점수로 평정 받은 경우와 면접위원의 과반수가 어느 하나의 동일한 평정요소에 대하여 하로 평정한 경우에는 불합격으로 처리한다.
사전조사서 작성시 공통적으로 유의할 점을 크게 세 가지로 살펴보자면, 첫째, 글자는 정자로 또박또박 쓸 것이며, 둘째, 글자는 큰 글자체로 할 것이며, 셋째, 번호부여를 할 경우 통일적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 다음으로 면접시 지켜야 할 10대 원칙을 소개하겠다.
1. 면접시험시 평정표의 항목에 충실하게 대비할 것 ① 내용의 논리성과 정확성 ② 창의력, 의지력, 발전가능성 ③ 전문지식과 그 응용능력 ④ 공무원으로서의 정신자세 ⑤ 예의, 품행 및 성실성
2. 내용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말할 것
3. 경험한 내용을 그 배경과 결과를 구체적으로 말할 것
4. 사례를 2개 이상 제시할 것
5. 논거를 제시하는 경우에는 이성적 차원에서 말할 것
6. 현황을 제시하고, 장·단점을 제시한 후에 대안을 제시할 것
7. 객관적인 통계수치나 데이터를 이용해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 할 것
8. 말한 내용에 대한 후속질문에 대비하고, 면접관과 논쟁을 하지 말 것
9. 결론부터 말하고, 그 논거를 제시할 것
10. 예의·품행을 갖추고 면접에 응할 것
면접은 면접관이 한정된 시간 내에 면접자의 가치관과 인생관 및 전문 지식 등을 판단하는 수험의 최종관문이므로, 자신의 장·단점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대비하면 최종합격이라는 결실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출처]공무원 저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