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
유연근무제 “공직사회 비정규직 양산”
정부가 야심차게(?) 시행 중인 유연근무제에 대해 내부에서 볼멘 목소리가 터져나왔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은 지난달 30일 민주노총 기자회견장에서 유연근무제 철회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전공노는 6월부터 7월까지 조합원 1,25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8.5%가 ‘유연근무제 도입으로 공직사회의 필요한 인력은 비정규직으로 충달될 것.’이라고 답했다고 전했다.
이어 정부가 유연근제 도입을 통해 이루겠다고 공언한 업무성과 향상 및 업무효율성, 일자리 창출 등에 대해서는 5·6급의 조사대상자 70%가 부정적인 의견을 밝혔다고 발표했다.
기자회견에서 전공노는 “유연근무제를 통해 6개월 이하의 고용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인건비를 대폭 축소할 수 있게 됐다.”라며 “괜찮은 일자리 하나를 쪼개 2~3개의 비정규직을 만들었지만 총임금 지출은 오히려 적어진 셈.”이라고 주장했다.
유연근무제란 일정한 시간과 장소 형태를 요구하는 정형화된 근무 제도에서 탈피한 신축적인 근무 제도로, 정부는 시간제 근무와 시차출퇴근제, 재택·원격 근무제 등을 지난 8월부터 전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 본격 도입했다.
[출처] 공무원저널
|
|